Solaris Express 12/03 릴리스의 coreadm, gcore 및 mdb 유틸리티에 새로운 개선 사항이 도입되었습니다. 이러한 변경으로 인하여 다음의 세 부분의 설명과 같이 코어 파일의 관리가 향상되었습니다. Solaris Express 1/04 릴리스에서는 coreadm 명령이 더욱 향상되었습니다.
이 기능은 Solaris Express 12/03 릴리스의 새로운 기능입니다. Solaris Express 1/04 릴리스에서 -i 및 -I 옵션의 기능이 더욱 향상되었습니다.
Solaris Express 12/03 릴리스에서 coreadm 명령을 사용하여 충돌 동안 코어에 프로세스의 어느 부분이 존재하는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coreadm을 인수 없이 실행하여 시스템 구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각 -G 및 -I 옵션을 사용하여 전역 코어 파일 내용과 각 프로세스별 기본 파일 내용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각 옵션에는 일련의 컨턴트 지정자 토큰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P 옵션을 사용하여 개별 프로세스용 코어 파일 내용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전역 설정에 해당하는 코어 덤프에는 더 이상 각 프로세스의 코어 파일 크기 자원 제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Solaris Express 1/04 릴리스에서 -coreadm 명령에 대한 -i 및 I 옵션을 이제 코어 파일 설정이 시스템 전체의 기본값을 사용하는 모든 프로세서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본값을 변경하려면 -p 및 -P 옵션을 사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coreadm(1M) 매뉴얼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이 기능은 Solaris Express 12/03 릴리스의 새로운 기능입니다.
gcore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손상시키지 않고 해당 프로세스에서 코어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gcore 유틸리티는 이제 가변 코어 파일 내용을 지원합니다. 내용을 지정하려면 -c 옵션을 사용하고,gcore 명령에서 반드시 coreadm 설정을 사용하도록 하려면 -p 또는 -g 옵션을 사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gcore(1) 매뉴얼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이 기능은 Solaris Express 12/03 릴리스의 새로운 기능입니다.
이제 기본으로 텍스트가 코어 파일에 포함됩니다. 또한 기호 테이블은 이제 기본으로 코어 파일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mdb 유틸리티가 이 코어 파일 데이터를 지원하도록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따라서 이제 원본 바이너리 또는 해당 파일에 링크된 라이브러리가 없이 오래된 코어 파일을 디버그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mdb(1) 매뉴얼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