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코드/UTF-8 로켈은 유니코드 4.0을 지원합니다. en_US.UTF-8 로켈은 UTF-8을 코드 세트로 사용하여 다중 스크립트 처리 지원을 제공합니다. 이 로켈은 다중 스크립트의 텍스트 입출력을 지원하며, Solaris Operating System에서 이 기능을 가진 첫번째 로켈이었습니다. 다른 UTF-8 로켈의 기능은 en_us.UTF-8과 유사합니다. 다음 en_US.UTF-8의 논의는 이러한 로켈과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UTF-8은 1992년 X/Open-Uniforum Joint Internationalization Working Group (XoJIG)이 체계화하고 1996년 ISO 및 IEC가 Amendment 2 to ISO/IEC 10646-1:1993로 승인한, 파일 시스템 안정적인 유니코드/ISO/IEC 10646-1의 Universal Character Set Transformation Format입니다. 이 표준은 유니코드 Consortium,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및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에 의해 유니코드 4.0 및 ISO/IEC 10646-1의 일부로 채택되었습니다.
Solaris 환경의 유니코드 로켈은 유니코드 4.0 및 ISO/IEC 10646-1 및 10646-2에 정의된 모든 코드 포인트 값의 처리를 지원합니다. 지원되는 스크립트는 범 유럽 및 아시아 스크립트와 아랍어, 히브리어, 인도어 및 태국어와 같은 복잡한 텍스트 레이아웃 스크립트도 포함합니다.
일부 유니코드 로켈, 특히 아시아 로켈은 보다 많은 Kanji 또는 Hanzi 모양을 포함합니다.
제한된 글꼴 자원으로 인해 현재 Solaris 유니코드 로켈은 다음 문자 세트의 문자 모양만 포함합니다.
ISO 8859-1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와 같은 대부분의 서유럽 언어)
ISO 8859-2 (체코어, 폴란드어, 헝가리어와 같은 대부분의 중부 유럽 언어)
ISO 8859-4 (스칸디나비아어와 발트어)
ISO 8859-5 (러시아어)
ISO 8859-6 (아랍어, 더 많은 표시 형식 문자 모양 포함)
ISO 8859–7 (그리스어)
ISO 8859–8 (히브리어)
ISO 8859-9 (터키어)
ISO 8859–15 (유럽 기호가 있는 대부분의 서부 유럽권 언어)
GB 2312–1980 (간체 한자)
JIS X 0201–1976, JIS X 0208–1990 (일본어)
KS X 1001: 1992 부속서 3 (한국어)
GB 18030 (간체 한자)
HKSCS (정체 한자, 홍콩)
Big5 (정체 한자, 대만)
ISCII라고도 하는 IS 13194.1991(힌디어, 더 많은 표시 형식 문자 모양 포함)
만약 en_US.UTF-8 로켈에서, 해당 글리프가 없는 문자를 보려고 하면, 로켈은 아래와 같이 no-glyph라는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로켈은 설치시 선택 가능하며 시스템 기본 로켈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64비트와 32비트의 Solaris 시스템에서, en_US.UTF-8과 동일한 수준의 로켈 지원이 제공됩니다.
Motif 및 CDE 데스크탑 응용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는 en_US.UTF-8 로켈을 지원합니다. 그러나, XView™ 및 OLIT 라이브러리는 en_US.UTF-8 로켈을 지원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