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장에서는 한국어 Solaris 운영 환경에 포함되어 있는 포스트스크립트 글꼴과 그 글꼴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사항 및 편집 방법 등을 설명합니다.
이 장은 이식 가능 컴파일 형식(PCF) 형식으로 BDF 글꼴 파일을 변환하는 방법과 그 글꼴을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합니다.
한국어 Solaris 운영 환경은 포스트스크립트 시스템 표시(DPS)에서 포스트스크립트 글꼴을 제공합니다. 이 절에서는 한국어 Solaris 소프트웨어에서 DPS를 사용할 때 필요한 사항을 설명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Adobe 시스템에서 출판한 Programming the Display PostScript System with X를 참조하십시오.
한국어 Solaris 운영 환경 DPS는 다음 표에 나열된 글꼴을 제공합니다.
표 6–1 한국어 Solaris 운영 환경 DPS 글꼴|
글꼴 이름 |
설명 |
|---|---|
|
고딕-중간-COMB-H |
한글과 로마어 텍스트로 인코드된 조합형의 가로 표시 고딕-중간 글꼴, 9/7 혼합 글꼴 코드화 |
|
고딕-중간-COMB-V |
한글과 로마어 텍스트로 인코드된 조합형의 세로 표시 고딕-중간 글꼴, 9/7 혼합 글꼴 코드화 |
|
고딕-중간 |
고딕-중간 글꼴, 고딕-중간-EUC-H 글꼴의 별명은 로마어 글꼴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고딕-중간-EUC-H |
EUC 텍스트의 가로 표시 고딕-중간 글꼴, 9/7 혼합 글꼴 코드화는 로마어 글꼴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고딕-중간-EUC-V |
EUC 텍스트의 세로 표시 고딕-중간 글꼴, 9/7 혼합 글꼴 코드화는 로마어 글꼴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고딕-중간-H |
변경된 ISO2022 텍스트의 가로로 표시된 고딕-중간 글꼴, 8/8 혼합 글꼴 코드화 |
|
고딕-중간-V |
변경된 ISO2022 텍스트의 세로 표시 고딕-중간 글꼴, 8/8 혼합 글꼴 코드화 |
|
명조-중간-COMB-H |
한글과 로마어 텍스트로 인코드된 조합형의 가로 표시 명조-중간 글꼴, 9/7 혼합 글꼴 코드화 |
|
명조-중간-COMB-V |
한글과 로마어 텍스트로 인코드된 조합형의 세로 표시 명조-중간 글꼴, 9/7 혼합 글꼴 코드화 |
|
명조-중간 |
명조-중간 글꼴, 명조-중간-EUC-H 글꼴의 별명은 로마어 글꼴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명조-중간-EUC-H |
EUC 텍스트의 가로로 표시된 명조-중간 글꼴, 9/7 혼합 글꼴 코드화는 로마어 글꼴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명조-중간-EUC-V |
EUC 텍스트의 세로로 표시된 명조-중간 글꼴, 9/7 혼합 글꼴 코드화는 로마어 글꼴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명조-중간-H |
변경된 ISO2022 텍스트의 가로 표시 명조-중간 글꼴, 8/8 혼합 글꼴 코드화 |
|
명조-중간-V |
변경된 ISO2022 텍스트의 세로 표시 명조-중간 글꼴, 8/8 혼합 글꼴 코드화 |
다음 한국어 글꼴을 로마어 글꼴을 사용하듯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딕-중간-EUC-H
고딕-중간-EUC-V
고딕-중간
명조-중간-EUC-H
명조-중간-EUC-V
명조-중간
다음 그림은 고딕-중간과 명조-중간 텍스트의 예제를 나타낸 것입니다.


로마어 글꼴처럼 다음 한국어 글꼴을 중간 ASCII(0x20) 문자가 없는 SO와 SI 문자 사이의 순수한 한국어 문자열인 ISO2022 인코드된 한글 문자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딕-중간-H
고딕-중간-V
로마어 글꼴 하나와 다음 한국어 글꼴 중 하나를 이용하여 혼합 글꼴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고딕-중간-COMB-H
고딕-중간-COMB-V
명조-중간-COMB-H
명조-중간-COMB-V
예를 들어, 다음의 포스트스크립트 코드는 ASCII 문자에서는 Times-Italic을 사용하고, 한국어 문자에서는 고딕-중간 가로 글꼴을 사용하는 예제 혼합 글꼴인 Times-Italic+고딕-중간을 정의합니다.
/Times-Italic+Kodig-Medium 13 dict begin /FontName 1 index def /FMapType 4 def /Encoding [ 0 1 ] def /WMode 0 def /FontType 0 def /FontMatrix [1.0 0.0 0.0 1.0 0.0 0.0] def /FDepVector [ /Times-Italic findfont /Kodig-Medium-COMB-H findfont ] def currentdict end definefont pop |
DPS 줄 바꾸기 정의에서 한국어 글꼴을 로마어 글꼴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예제 코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표시합니다.
defineps PSWDisplayText(char *text) /pointSize 50 def /Helvetica pointSize selectfont (Hello World) stringwidth pop 2 div neg 0 moveto (Hello World) show /cpSize 40 def /Kodig-Medium-KO cpSize selectfont (text) stringwidth pop 2 div neg pointSize neg moveto (text) show endps |
C 프로그램에서 PSWDisplayText(한국어 텍스트)를 사용하여 지정된 한국어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Solaris 응용프로그램이 수정된 BDF 파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면 먼저 PCF 형식의 파일로 변환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bdftopcf 명령을 사용하여 PCF 형식으로 변환하여 한국어 Solaris 운영 환경이 사용할 수 있는 BDF 글꼴 파일을 만드십시오.
system% bdftopcf -o myfont14.pcf myfont14.bdf |
자세한 내용은 bdftopcf(1) 설명서 페이지와 mkfont(1) 설명서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새로운 비트맵을 Solaris 운영 환경에 추가하려면 .pcf 글꼴 파일을 글꼴 디렉토리에 넣으십시오. 글꼴 디렉토리로 이동하기 전에 .pcf 글꼴 파일을 압축할 수 있습니다.
system% compress myfont14.pcf |
글꼴 디렉토리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하십시오.
.bdf 파일은 글꼴 디렉토리에 있으면 안 됩니다.
system% cat>> fonts.alias -new-myfont-medium-r-normal--16-140-75-75-c-140-ksc5601.1987-0 Myfont-Medium14 ^D system% mkfontdir system% xset +fp `pwd` |
다음을 입력하여 글꼴을 볼 수 있습니다.
system% xfd -fn Myfont-Medium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