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 Java System Calendar Server 6.3 관리 설명서

22.1 Calendar Server 6.3 소프트웨어의 정보 디버깅 조정

이 절에서는 Calendar Server 배포 환경에서 로그 및 디버깅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념 정보와 지침을 제공합니다.

전체 시스템을 “디버그 모드”로 실행하는 ics.conf 매개 변수는 없지만 이 절에서는 유용한 디버그 정보를 가져오는 몇 가지 방법을 설명합니다.


주 –

과도한 로깅과 모니터링은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필요하지 않은 경우 해제하십시오.


22.1.1 로깅 수준 올리기

다음 표에 표시된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로깅의 세부 수준을 늘리십시오.

매개 변수 

설명과 기본값 

logfile.loglevel

CRITICAL, ALERT, ERROR, WARNING, NOTICEINFORMATION을 포함하여 모든 수준을 기록하려면 DEBUG로 설정합니다. 이 설정은 모든 로그에 적용됩니다.

22.1.2 LDAP 캐시에 대한 액세스 로깅 활성화

LDAP 데이터 캐시에 대한 모든 액세스를 기록하고 로그(보고서)를 출력하려면 다음 표에 나와 있는 ics.conf 매개 변수를 설정합니다.

매개 변수 

설명과 기본값 

local.ldap.cache.stat.enable

LDAP 데이터 캐시 액세스 로그 여부 및 로그 파일의 통계 인쇄 여부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no”(통계 기록 안 함)입니다. 통계 로깅을 사용 가능하게 하려면 “yes”로 설정합니다.

성능 개선을 위해 디버그 모드에서만 사용하십시오. 

local.ldap.cache.stat.interval

각 통계 보고서가 로그 파일에 기록되는 간격을 초 단위로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1800”초(30분)입니다.

로깅이 사용 가능한 경우에만 활성화됩니다. 간격을 줄이면 문제를 정확히 식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간격을 늘리면 시스템 로드가 줄어듭니다. 

22.1.3 LDAP 캐시 지우기

Calendar Server에는 현재 LDAP 캐시 데이터를 만료하기 위한 논리가 없습니다. ldap_cache 디렉토리의 내용을 수동으로 제거한 후 Calendar Server를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ProcedureLDAP 캐시를 지우려면

  1. Calendar Server를 중지합니다.

  2. /var/opt/SUNWics5/csdb/ldap_cache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제거하지만 ldap_cache 디렉토리 자체는 제거하지 않습니다.

  3. Calendar Server를 다시 시작합니다.

22.1.4 WCAP 명령 및 HTTP 액세스 로깅

디버깅을 용이하게 하는 두 가지 구성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들어오는 명령 및 HTTP 액세스를 로깅할 수 있습니다. 이 매개 변수를 하나 또는 둘 다 ics.conf 파일에 추가하여 로깅을 활성화합니다.


주의 – 주의 –

로그 파일은 빠르게 크기가 커져 디스크 공간을 차지합니다. 문제를 피하려면 디스크 공간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십시오. 시스템에서 이러한 명령을 사용하려면 사용량이 적은 시간을 선택합니다. 사용량이 많은 시간 중에 실행하면 성능이 크게 떨어집니다. 문제를 해결한 경우 항상 이 두 명령을 비활성화하십시오.


22.1.5 Calendar Server 6.3 csstats 유틸리티를 사용한 시스템 모니터링

csstats list 명령을 사용하여 counter.conf 파일에 정의된 카운터 객체의 통계 정보를 표시합니다.

csstats 유틸리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부록 D, Calendar Server 명령줄 유틸리티 참조 를 참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