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 X5 시리즈 서버 관리 설명서

인쇄 보기 종료

업데이트 날짜: 2015년 7월
 
 

탄력적 컴퓨팅 이해

탄력적 컴퓨팅이란 프로세서 코어를 선별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여 남아 있는 활성 코어의 최대 주파수를 이후에 높이거나 낮춤으로써 성능을 최대화하는 기능을 가리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제공된 작업 부하의 코어 개수와 최대 주파수 간에 최적의 균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각 코어는 하이퍼스레딩이 사용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의 가상 프로세서를 지원합니다. 가상 프로세서는 스레드를 지원합니다. 활성 코어 수를 늘리면 가상 프로세서 수도 늘어나서 응용 프로그램에서 더 많은 스레드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코어와 연관된 모든 가상 프로세서를 비활성화하면 코어도 비활성화됩니다.


주 -  Linux 운영 체제에서는 가상 프로세서논리적 프로세서라고 합니다.

일부 작업 부하의 경우 여러 개의 스레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신, 더 적은 수의 스레드를 더 높은 주파수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탄력적 컴퓨팅을 수행하려면 먼저 특정 작업 부하에 맞는 최적의 코어 수와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서가 장착된 서버를 주문해야 합니다. 탄력적 컴퓨팅을 사용하면 여러 유형의 작업 부하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단일 서버를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코어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때 Solaris나 Oracle Linux OS 또는 BIOS Setup Utility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OS 명령을 사용하면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가상 프로세서를 활성화하고 비활성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 가능한 코어 수를 원하는 대로 변경하여 응용 프로그램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이 선호되는 방법입니다. 단, Oracle Linux 또는 Oracle Solaris 운영 체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필요한 만큼 자주 동적으로 성능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지원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경우 BIOS Setup Utility를 사용하여 코어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원할 때마다 설정을 변경할 수 있지만 서버를 재부트해야 합니다.


주 -  하이퍼스레딩이 사용으로 설정된 경우 코어를 비활성화하려면 해당 코어와 연관된 두 가상 프로세서를 모두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코어 및 최대 주파수

다음 표는 활성 코어(제공된 소켓)와 최대 주파수 간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주 -  Intel Xeon E7-8895v3 프로세서의 코어 주파수는 2.6GHz지만, 최대 주파수는 3.0 - 3.5GHz입니다. 활성 코어 수를 변경하면 코어 주파수가 아닌 최대 주파수가 변경됩니다.
활성 코어 수
최대 주파수(GHz)
1 - 6
3.5
7 - 8
3.4
9 - 12
3.3
13 - 14
3.2
15 - 18
3.0